Note
JPA Programming 본문
1. Database Setup (H2, MySQL...)
2. Depencency (Library) 설정 - Maven or Gradle
3. persistance.xml : JPA 설정 파일 (Spring Boot 사용시 자동화되어 있어 추가 불필요)
4. EntityMangerFactory (Spring Boot 사용시 자동화되어 있어 추가 불필요)
- Database 당 1개 묶임.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딱 한 번 생성
- persistance.xml 설정파일 내에 정의된 name 정보를 읽어와 생성됨
5. EntityManager
- 하나의 트랜잭션 단위에서 생성하여 사용 후 종료
6. Database 안의 모든 데이터 변경 로직은 트랜잭션 안에서 수행되어야 하다.
- tx.begin() >>>> DB 변경 로직 >>>> tx.commit() / tx.rollback()
7. 자원을 다 사용한 후 반드시 반환 (EntityManager, EntityManagerFactory close)
'Dev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쓰레드 로컬 (Thread Local) (0) | 2023.03.03 |
---|---|
REST API (0) | 2021.06.11 |